미래기술, 미래인간 및 미래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력과 혁신성을 가지고 미래를 디자인하는 전문가에게 최적의 연구그룹입이다. 미래 디자이너를 위한 인공지능, 데이터 사이언스, 로보틱스, 사물인터넷, 생체기술과 같은 필수적인 융합기술 이해와 학습은 새롭게 개척해야 할 인공지능 디자인과 구현 및 산업 응용 분야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서비스 디자인, 미래향 제품 및 솔루션을 구현하며, 주요 글로벌 기업들 및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대학들과의 지속적인 협업으로 다양한 미래형 프로젝트를 유치,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축적된 연구력은 국제저명저널 논문, 국제저명학회 발표, 국제특허 및 기술이전 등으로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대학교수, 기업 및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 공무원, 글로벌컨설팅그룹, 벤처창업, 해외유학 및 해외취업의 진로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AI-D 프로젝트 스튜디오
개인 프로젝트 설정 및 수행을 위한 기본 인공지능 및 관련 지식을 학습하고,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개인 프로젝트를 검증 받고 구체화 및 고도화 한다.
데이터 기반 인터페이스 스튜디오
미래 환경에서 인터페이스 지식을 함양하며 인공지능 기반 분야에서 필수적인 데이터와 인터페이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반 지식과 이해를 키운다.
AI와 미래 디자인
디자인역사 중 미래디자인에 집중하는 과목으로,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수학하며, 기술과 디자인이 어떻게 결합하여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이 되는지를 이해한다.
디자인을 위한 딥러닝
파이썬 프로그래밍 심화 과정으로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실습을 통해 전문적 지식을 함양한다.
인공지능 사용자경험
인공지능의 발달로 제품 및 서비스 사용자 경험(UX)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시점에서 사용자 경험 이론을 재정의하고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해하며 실제 UX를 설계한다.
인간두뇌 인터페이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BMI)에 대한 이론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관련 지식을 함양한다.
미래 모빌리티와 인간
미래 모빌리티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자율주행차, 목적기반모빌리티(PBV),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미래 이동수단과 교통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디자인 구현 및 검증 방법을 학습한다.
컴패니언 로봇 디자인
지능형 로봇에 대한 유형과 기술을 이해하고 지능형 로봇 설계를 위한 UX/UI 관점의 전문적 지식을 함양하여, 컴패니언 로봇 디자인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전담교수
+
서강대학교 Computer Vision/HCI 공학 박사
서강대학교 Computer Science 공학 석사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디지털아트 석사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학사
홍익대학교 회화과 학사
+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사이언스학과 학과장, AI디자인랩 전담교수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AI디자인학과 전임교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연구소 상임위원
기술과디자인연구센터(TDRC) 센터장
+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교수 (2012-2020)
국토교통부 자율주행-융복합 자문위원 (2020-현재)
국가기술표준원 자율주행자동차 국제표준 전문위원 (2019-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초연결-자율주행차 산업융합 혁신산업 기획위원 (2018-20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평가위원 (2015-현재)
대한UX전문가협회(UXPA Korea) 회장 (2019-현재)
한국HCI학회 부회장 (2018-2020), 조직위원장 (2019-2020), 운영이사/편집위원 (2016-현재)
한국감성과학회 이사 (2021-현재)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이사 (2019-현재)
대한산업공학회 IE매거진 편집위원 (2019-현재)
+
한국감성과학회 학술진흥상 (2020)
한국감성과학회 춘계학술대회 최우수논문상, 우수논문상 (2019-2020)
연세대학교 우수업적교수상 (연구부문) (2019)
한국감성과학회 감성과학논문지 최우수논문상 (2018)
The Convergent Research Society of HSST, Best Paper Award (2016)
ICCC International Digital Design Invitation Best Design Award (2016)
ICES International Conference Best Oral Award/Best Poster Award (2015)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우수논문상 (2015)
한국게임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발표상 (2013)
SIIF International Invention Fair(국제발명전시회) 은상 (2012)
겸임교수
김영하
+
컴퓨터공학 석사
수학/전산학 이학사
메타버스, 홀로그램 컨텐츠 개발
메타버스, 홀로그램 컨텐츠 개발
VR 사용성 평가 / 컴패니언 로봇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VR 사용성 평가 / 컴패니언 로봇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포테인먼트, 미래이동공간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
인포테인먼트, 미래이동공간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
시니어 VR 인터랙션 사용성 평가 | 현대자동차
시니어 VR 인터랙션 사용성 평가 | 현대자동차
자율주행 시스템 GUI | 산업통상자원부
자율주행 시스템 GUI | 산업통상자원부
HVI / 운전자 모니터링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
HVI / 운전자 모니터링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
미래모빌리티 공간 활용 정량화 연구 | 현대자동차
미래모빌리티 공간 활용 정량화 연구 | 현대자동차
미래모빌리티 공간 비전 아이디어 도출 워크샵 | 현대트랜시스
미래모빌리티 공간 비전 아이디어 도출 워크샵 | 현대트랜시스
스마트오피스 사용자 연구분석 | 넵스, 연세대학교
스마트오피스 사용자 연구분석 | 넵스, 연세대학교
컴패니언 로봇디자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컴패니언 로봇디자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머신러닝·EEG 기반 언택트공간 사용자 연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머신러닝·EEG 기반 언택트공간 사용자 연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체신호 인터페이스 분석 | 산업통상자원부
생체신호 인터페이스 분석 | 산업통상자원부
스마트카/인공지능 서비스 디자인 | SKT
스마트카/인공지능 서비스 디자인 | SKT
인공지능 서비스 디자인 | SKT
인공지능 서비스 디자인 | SKT
Stretchable Display, AI/UX디자인 | 삼성디스플레이
Stretchable Display, AI/UX디자인 | 삼성디스플레이
Stretchable Display, AI/UX디자인 | LG디스플레이
Stretchable Display, AI/UX디자인 | LG디스플레이
미래 디스플레이 및 Bio Interaction 연구 | 기아자동차
미래 디스플레이 및 Bio Interaction 연구 | 기아자동차
생체신호,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실험 | LG전자
생체신호,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실험 | LG전자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차세대 클러스터 디자인 | 기아자동차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차세대 클러스터 디자인 | 기아자동차
스마트 윈도우 HUD 아이트래킹 연구 | 현대자동차
스마트 윈도우 HUD 아이트래킹 연구 | 현대자동차
K-Design Award 2021 Gold Winner 수상
K-Design Award 2021 Gold Winner 수상
Red Dot Design Award Finalist
Red Dot Design Award Finalist
36-702 서울시 성북구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TEL. 02-910-4943, 4944. FAX. 02-910-52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Jeongneung-Ro 77, Seongbuk-Gu, Seoul, Korea
Copyright © 20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