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리어 디자인매니지먼트랩은 경험디자인과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역과 공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비지니스 및 다양한 경험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산업계와 협력하여 현실적인 실현모델에 적용함으로서 이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학문분야입니다. 2년동안 학생들은 지도교수및 전문가, 협력기업과 함께 실무중심의 수업을 통해서 로컬 기획자/크리에이터로서의 소양과 기획능력, 실무커리어를 축적함으로서 이를 통하여 경험/서비스디자인 전문가, 공간컨텐츠 기획자, 지역개발 전문가로서의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성장하게 될 것입니다.
로컬 디자인 스튜디오 1 & 2
지역 및 다양한 공간 경험디자인의 기초적인 이론 및 실무에 필요한 지식(비지니스/건축/컨텐츠 매니지먼트등)을 다양한 실무프로젝트를 통해서 학습한다.
에어리어 컨텐츠 기획
대상지역의 특징 및 다양한 관계들을 리서치하고 경험디자인 측면에서 지역특화적 컨텐츠를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공간 서비스/브랜딩 디자인 1 & 2
지역성을 기초로 하여 이용자들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이를 상품화할 수 있는 브랜딩 비지니스 역량을 기른다.
지역 혁신디자인세미나
지역의 다양한 제문제(행정, 기술, 문화, 건축)를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위한 다양한 학제적 접근방법을 전문가 특강과 토론을 통해서 논의한다.
전담교수
+
예일대학교 예술대학원 그래픽디자인 석사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학사
+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랩 부교수
현) 서울시 공공디자인 위원회 위원
현) 국회 사무총장 디자인 자문관
전) 코레일 디자인 위원회 위원
전) 한국공예문화 디자인재단 공공디자인프로젝트 자문 위원
전) 한국디자인진흥원 기획위원회 위원 역임
ADC, TOKYO TDC 수상
한국 문화관광부 2013년 올해의 젊은예술가상
서울시내버스 외관 디자인 국제공모상
베니스 건축비엔날레 한국관 2016 디자인
참여강사
김종석, (주) 쿠움 대표
+
목포근대역사 문화공간위원회 위원
서대문구 도시재생 총괄자문단
서울특별시 사직2구역 지역활성화를 위한 재생건축물 설계 디자인 '설계 디자인 총괄'
서울연구원 연구 '뉴타운 재개발 해제지역 실태분석과 주거재생방향 연구지원'
KBS스페셜 '뜨고 지는 길 그 몰락과 부활' 편
+
연희동 카페거리 조성 / 연남 세모길마을 (고문) / 담장없는 거리 / 서래마을 해나하우스 (반포동 76-9) / 연남동 안플레이 하우스 (연남동 504-12, 50) / 목포시 세관창고 일원 활용방안 검토용역 기획 및 설계 디자인 총괄
해방촌 프로젝트
해방촌 프로젝트
서울시내버스 외관디자인
서울시내버스 외관디자인
목포세관창고 재생프로젝트
목포세관창고 재생프로젝트
2016 베니스비엔날레
2016 베니스비엔날레
반포동 해나하우스 리모델링 프로젝트
반포동 해나하우스 리모델링 프로젝트
공간기획수업결과물: 반려동물복합공간기획
공간기획수업결과물: 반려동물복합공간기획
로컬서비스디자인수업결과물: 메콩강 일대 지역친화적 그린투어
로컬서비스디자인수업결과물: 메콩강 일대 지역친화적 그린투어
36-702 서울시 성북구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TEL. 02-910-4943, 4944. FAX. 02-910-52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Jeongneung-Ro 77, Seongbuk-Gu, Seoul, Korea
Copyright © 20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