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티브 인테리어 아키텍쳐랩

Creative Interior Architecture Lab

다가오는 미래사회는 의.식,주의 완성 단계로 리빙 컨텐츠가 사회, 문화 전반적으로 자리잡으로써 질 높은 생활 문화 추구와 지구환경 보호 , 인간존중 삶의 가치가 더욱 중요시 될 것입니다. 따라서 공간디자인은 단순히 공간을 꾸민다는 개념을 넘어 새로운 공간 문화 창출하기위해 창조적 사고와 가치로서의 미의 기능 및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발맞춰 신기술과 접목되어 총체적인 공간 창의 개념으로 나아가야 할 교육적 가치를 가집니다.


크리에이티브 인테리어 아키텍쳐 Lab 은 21년 역사와 창의성에 바탕을 둔 혁신적인 디자인 교육을 우선하고, 통합적 사고 능력 배양을 위해 전반적인 건축과 공간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는 교과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무엇보다 디자인 실무 전문 석사 과정으로 실천력 중심의 교육체계를 통해 실내 설계 실무 경험자의 한발 더 앞선 자기개발과 밀도 있는 전문인으로서 성장하기 위한 교육을 실현합니다.

교과목 소개

공간철학

공간의 의미를 철학, 미학, 건축학, 세계사의 통섭적 학문으로 인식하고, 공간이 담고 있는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는 학습 과정이며, 디자인 적용에 있어 본질적 공간의 미를 학생 스스로 탐구하게하고, 철학적 사고 위에서 공간디자인과의 관계를 연구해 본다.


아키텍처 히스토리

현대 건축과 실내공간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맥락을 이론적으로 조사하고, 그 역사를 통해 현대 실내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이론적으로 적립시켜주는 학습과정이다. 특히 근, 현대 건축과 디자인에서 아방가르드를 일으키고 있는 작가들의 철학과 작품을 포함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인테리어 디자인 콘셉트

개인의 전공분야에 학술적 가치가 있는 논제를 연구 주제로 하여 리서치, 접근 방법, 자료수집 및 처리. 논리적 전개에 대한 학습 할 수 있는 과정이다. 특히 석사과정 졸업논문에 대해 사전에 연구주제의 선정 및 방법을 학습해 볼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 인테리어 디자인 스튜디오 I

실내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으로서, ‘주거공간’을 기획, 설계, 디자인, 프리젠테이션 순으로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을 진행한다. 특히 디자인의 주제를 해석하고 공간을 보다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학습할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 인테리어 디자인 스튜디오 II

실내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으로서, ‘상업공간’을 기획, 설계, 디자인, 프리젠테이션 순으로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을 진행한다. 특히 디자인의 주제를 해석하고 공간을 보다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학습할 수 있다.


스페이스 칼라 / 뉴 메터리얼 & 컨스트럭션

실내디자인에 있어 재료가 가지고 있는 성질을 파악하고 색채와의 관계성을 조사 분석하여 보다 나은 환경의 실내디자인 공간을 창조할 수 있는 학습과정이다. 특히 실무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재료와 색채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다.


뉴 스페이스 트렌드

시회 문화적 현상과 새로운 패러다임에 변화되는 디자인과 세대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CMF관점의 공간 환경 그리고 인간과의 관계성을 고철하여 새로운 공간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고 미래 디자인의 트랜드와 컨텐츠를 제시한다.


디지털 스페이스 메니지먼트

디지털 시대의 도입에 따른 공간의 개념들이 달라지고 있다.특히 스페이스의 매니지먼트는 공간디자인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공간의 매니지먼트와 스마트 스페이스의 디자인은 대학원의 전문화된 교육과정이다.


어드밴스드 스페이스 스튜디오 I, II

도시와 건축의 노후화에 따른 건축물 리모델링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디자인하고 시공 할 수 있는지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특히 리모델링에 있어 건축의 구조, 철거, 시공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공학적인 기초위에서 디자인을 적용하는 학습과정이다.


공간 디테일 리서치

실내디자인 설계와 시공에 있어 디자이너가 꼭 알아야 하는 공간 디테일을 실무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학습과정이다. 학습은 디자인되어진 작품과 설계도서 등을 통해 디자인이 풀어야 하는 세부 디테일 과정을 이론과 연구를 통해 학습할 수 있다.


퓨처리즘

퓨처리즘은 삶의 복잡성에 대해 반응하는 역동적이며 진화하는 장소로 만들 수 있는 미래 공간 디자인을 위한 방법론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특히 영화, 문학, 의상, 과학, 공간 등에서 보여 지는 미래주의 디자인 전략과 새로운 기술, 인간과의 상호관계, 시스템 등에 대한 발전적 방향을 학습 할 수 있다.


스마트 스페이스 디자인

실내디자인 작업에 있어 인간공학에 따른 인체치수와 공간치수 등을 학습 할 수 있는 과정으로, 인간척도에 따른 공간과의 치수를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실무에 적용하여, 효율적인 공간디자인을 설계 할 수 있는 과정을 학습할 수 있다.


전담교수


윤재은  dreamask@kookmin.ac.kr

+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건축설계, 공학박사 (2007)

미국 프랫 인스티튜트 인테리어 디자인 석사 (1994)

코펜하겐 DIS Program 건축과 디자인 과정 수료 (1993)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학사 (1989)

+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간디자인학과 교수

(사)대한전시디자인학회 부회장 (2010)

미국 UC Berkeley 대학 건축학과 연구 교수 (2007)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최고위정책과정 제42기 수료 (2004)

대불대학교 건축학과 실내건축과 조교수 (1996-2001)

삼성전자 인테리어 디자인실 디자이너(1989-1990)

+

국민대학교 ORANGE HALL 디자인 (2018)

Blue Windows 건축 설계 (2014)

매화문화센터 (2013)

German Haus 건축설계 (2010)

Spoensha (2009)

Stargio Children Traffic Safety Museum (1996)

+

건축전문서적 '아키로드 1, 2, 3권' 출간, 기문당 (2008, 2013)

공간시집 '건축은 선이다' 출간, 기문당 (2009)

공간시집 '건축은 나무다' 출간, 기문당 (2006)

Ubiquitous, Spatial Aesthetic 출간, 국제출판 (2005)

Understanding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출간, 국제출판 (1998)



36-702 서울시 성북구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TEL. 02-910-4943, 4944. FAX. 02-910-52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Jeongneung-Ro 77, Seongbuk-Gu, Seoul, Korea


Copyright © 20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