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발표 및 게재

1731+

산학프로젝트

205+

작품전 입상 및 전시

930+

특허출원

174+

홍보

258+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은 1999년 9월 교육부로부터 우리나라 최초의 디자인 박사학위 프로그램 운영을 인가받아 설립되었다. 이후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은 일종의 애정이 담긴 이름 ‘TED(Techno Design)’으로 자신을 지칭하면서 20년의 시간을 지나왔다. 90년대 중반인 TED의 준비와 탄생기는 우리나라에서 ‘Brain Korea’의 이름으로 국가가 대학의 교육과정에 관여하기 시작한 때였으며, 밀레니엄을 눈앞에 둔 시점으로 IT(Information Technology), NT(Neuron Technology)등 새로운 차원의 테크놀로지가 급속히 확산되던 시기였다. 교육의 장에서 이런 현실에 대응하는 것은 당면 과제였다. 또한 1998년 미국의 오하이오대학에서 ‘Doctoral Education in Design’이라는 디자인 분야의 박사과정을 주제로 한 대형 컨퍼런스가 있었고, 2000년에는 'Communication Art'지에 디자인학 박사과정에 대한 다각도 논고가 특집으로 실리면서 이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었다.


TED는 국제적 요구를 실시간으로 수렴하며 모든 전공에 박사과정을 신설하고, IT 기반의 디자인 교육과 산학 프로젝트 중심, 지식 전수의 아카데미즘이 아닌 지식 생산의 프로페셔널리즘의 장으로서 전문대학원을 제안했다. 이러한 비전으로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TED는 디자인전문대학원으로 탄생하였고, 5개 주요 일간지의 전면컬러 광고를 통하여 입시를 시작하면서 출발하였다. 당연히 전문대학원으로서의 비전 실현을 위한 교육 및 연구 시스템의 정립은 중요한 의제였고, 당시로서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스튜디오 과목 신설 및 TED만의 석∙박사 과정 커리큘럼이 구축되었다.



2022년

+ 제 11대 원장에 시각디자인학과 김민 교수 취임

+ 2개 랩 신설 : 에어리어디자인매니지먼트랩, 영상커뮤니케이션랩


2021년


+ 학과명 변경 : 미래디자인학과 → 디자인사이언스학과, 공간·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 공간·문화디자인학과

+ 랩 체제 개편 : 미디어아트&테크놀로지 → 미디어테크놀로지, 소셜디자인/브랜드디자인 → 소셜·브랜드

+ 크리에이티브인테리어아키텍쳐랩 소속 학과 변경 : 건축디자인학과 → 공간·문화디자인학과

+ 2개 랩 신설 : 타이포디자인랩, AI도시디자인랩

+ 랩 명 변경 : AI도시디자인랩 → 어번아키텍쳐랩, 실내·가구디자인랩 → 라이프스타일·가구디자인랩

+ 2020학년도 학위수여


2020년


+ 제 10대 원장에 공간·환경디자인랩 김개천 교수 재임

+ AI디자인 랩 신설

+ 2019학년도 학위수여


2019년


+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주년 기념식 "We Are Design"
+ 2018학년도 학위수여

2018년


+ 제 9대 원장에 공간환경디자인랩 김개천 교수 취임
+ 생테티엔 디자인대학 복수학위 과정 개설
+ 2018 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선정
+ 최경란 교수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취임
+ 2017학년도 학위수여

2017년


+ 2개 랩 신설 :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컬쳐디자인랩, 건축디자인학과 아키텍쳐디자인랩
+ 2017 밀라노 가구박람회 초대 전시 (BK21PLUS I-TEC 사업팀)
+ 2017 통일나눔펀드지원사업 개인학술연구 부문 당선 (통일디자인랩)
+ 공공서비스디자인 이해 특강 (서울시 중구) / 김성우 교수 특강
+ 경기도의 새 얼굴, 경기천년체 제작 / 프로젝트 자문위원장 김민 교수, 제작 조현신 교수, 박윤정 겸임교수
+ 2016학년도 학위수여

2016년


+ 제 8대 원장에 실내∙가구디자인전공 최경란 교수 재임
+ 구 전공 체제에서 6개 학과, 15개 랩 체제로 개편
+ 2015학년도 학위수여

2015년


+ 전공 체제에서 학과 체제로 변경
+ 6개 학과 : 디자인플래닝, 경험디자인, VR디자인, 라이프스타일디자인, 시각디자인, 건축디자인
+ 2014학년도 학위수여

2014년


+ 제 7대 원장에 실내디자인 전공 최경란 교수 취임
+ 시스템디자인 → 제품시스템디자인으로 전공명 변경
+ 수업연한 단축 : 박사 3년/60학점 → 2년 6개월/42학점, 석사 39학점 → 36학점
+ 산업통상자원부 기업연계형 연구개발 인력 양성사업 선정
+ IT Service Design Research / 한국HCI학회
+ SK Project Homeground / SKP
+ 3D프린팅 비지니스 창출을 위한 D2B 클라우딩 시스템 기반 구축
+ BKPLUS Well-Formed 스마트 스페이스 디자이너 양성사업 선정
+ 2013학년도 학위수여

2013년


+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조형관 별관 리모델링
+ 콘텐츠디자인 → 엔터테인먼트디자인으로 전공명 변경
+ 병원정보시스템 UX / SMART MOB
+ UX/UI기반 기술인문융합사례 조사 분석 및 Prototype 제작 / KIAT
+ 녹과 이끼 전시, 갤러리 가이아
+ 최승선 박사과정, 매우 배고픈 소녀와 흉터투성이 소년 출판, 길찾기
+ Next VOD Concept개발을 위한 사용자 조사 / NATE HOPPIN
+ 중국 난징시 (Naning Shi) 관광 서비스 디자인 / 중국 난징시
+ SK 모바일 영상서비스 UX 개선 프로젝트 / SK Broadband
+ 충남삼성고등학교 교복 디자인 개발
+ 마을과 이웃 2013 마을문화계획 전시, 인천문화재단
+ 서울디자인 15경, 인문적 시각의 디자인 비평기, 국민대학교 출판부
+ 모바일 프린팅 솔루션 시나리오 발굴 / 삼성전자
+ 교육 콘텐츠 DB 서비스 / 혜윰미디어
+ 공작기계 뉴디자인 적용 추진
+ 2012학년도 학위수여

2012년


+ 제 6대 원장에 시스템디자인 전공 정도성 교수 재임
+ 유니버설 디자인 산업생태계 조성방안 연구
+ 필리핀 한국문화원 1주년 기념전
+ 동양도자전, 이천세계도자센터, 이천, 경기대, 대한민국
+ 포스코ICT, 콘텐츠디자인전공, JUX 디지털콘텐츠 공동개발
+ 국제조형디자인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 자동차 서비스 UX 사용성 평가 / 삼성전자
+ 2011학년도 학위수여

2011년


+ Scope Art Show 참가(Mindy Solomon Gallery), 마이애미, 플로리다, 미국
+ Design Group 루 Space & Design 프로젝트, 서울, 대한민국
+ Object, 광진교 리버뷰 8번가
+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process / (주)LIXIL
+ Texas Contemporary Art Fair 참가 (Mindy Solomon Gallery)
+ 인터랙티브 스마트 의류를 위한 피지컬 컴퓨팅 플랫폼 개발 전략 연구
+ 미래 차체 면의 절제된 탄력곡선 연구
+ 밀라노 트리엔날레‘Vitality: Korean Young Designers’ 전시기획 및 디자인
+ 소형 저가 시뮬레이터 디자인 개발
+ AHAF -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 아트 페어 참가, 이도 갤러리
+ PAUSE, 갤러리마노, 서울
+ VOID DRAW(){}, 국민대학교 조형갤러리
+ 광희문 관광지원화를 위한 특성화 계획수립 / 서울특별시 중구청
+ 新 유목민의 디자인 : 이주민들의 물질 표상에 대한 공감각적 해석
+ 일민미술관 '고백: 광고와 미술, 대중' 전시(2012.05.18~08.19)
+ 중소기업 수출상품 컬러경쟁력 강화
+ 디스커버리 디자인 서울, 서울의 디자인 명소 29곳에 대한 디자인 현장
+ 색채 - 감성 연계기발기술 (3차년도)
+ 솔라트리용 나뭇잎 설계 및 제작
+ 혜윰 스마트 튜터 / 혜윰미디어
+ 2010학년도 학위수여

2010년


+ 제 5대 원장에 시스템디자인 전공 정도성 교수 취임
+ 디지털컨텐츠디자인 → 콘텐츠디자인, 산업디자인 → 시스템디자인으로 전공명 변경
+ 베트남 VRG 동화 MDFPLANT PROJECT
+ 모듈러 시스템을 이용한 탈·부착 형태의 유비쿼터스 패셔너블 컴퓨터
+ Intangibility in being. Ceramic & Painting 1966-2010
+ Christmas Fantasy, 두산아트스퀘어, 서울
+ 디자인그룹 루 프로젝트 / 경기도
+ 서울 기프트 쇼 참가
+ Croisements Vers la communication, Escape Commines, 파리, 프랑스
+ Modern Morphism - Contemporary Ceramics Sculpture
+ Hazy Sunshine, Gallery KYO, 동경, 일본
+ 내장의 조형 고급감을 느낄 수 있는 (조형요소,소재,컨셉 등) 분석 제안
+ Network Crafting, 21세기 현대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 대형평형 인테리어 특화상품 개발 / (주)삼성물산
+ 청풍문화재단지 정문 공간정비 연구
+ 실생활 화경 그린 IT기술 실증 테스트 및 산업 활성화 기반구축 사업
+ Material & Process, 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 김해
+ 디스플레이 색채정보 표준화 및 光감성 기반구축 / 한국디자인진흥원
+ 솔라트리 디자인 연구
+ 서울시 차세대 감성형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혁신 클러스터 구축 - 5차년도 / 서울시
+ 2009학년도 학위수여

2009년


+ 글로벌 디지털디자인 성공사례 및 육성방안 / 한국디자인진흥원
+ 근미래의 그린디자인 기회를 통한 아이디어 북 제작 / (주)삼성전자
+ 첨단도시개발 사업 / 국토해양부
+ 모듈러 시스템을 이용한 탈·부착 형태의 유비쿼터스 패셔너블 컴퓨터
+ 색채 - 감성 연계 기반 기술(2차년도 / 3차년도)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소남이섬 마스터플랜 기초 계획안
+ 하이막스 소재를 적용한 한.중.일 욕실,부엌 공간 디자인 / (주)LG 하우시스
+ 유럽과 북미 패션 전시회 관한 조사 및 연구 / PFiN
+ Car Interior, 감성적 수납 공간 연구 / (주)현대자동차 / (주)엔지비
+ 남산르네상스 디자인가이드라인 수립 / 서울특별시
+ Trend & Issues 개발 산학협동 프로젝트 / (주)롯데건설
+ 이야기와 이야기 (story n story), 제1회 디자인 비평집 발간 및 디자인
+ Touch Mobile Device Benchmarking을 통한 결합형 PMD 경쟁력 강화
+ 2008학년도 학위수여

2008년


+ 제 4대 원장에 도자 전공 노경조 교수 취임
+ BK21 전국단위 우수대학원 최상위 1위 사업팀 선정
+ 2008’ '국제 주얼리 디자인 공모전 '실물부문 / 대상, 우수디자이너상, 특선
+ 제도변화에 대응하는 공동주택 평면개발 연구 /. 쌍용건설주식회사
+ 최경주재단 CI 시스템 개발
+ 동부건설 트렌드 및 이슈 개발 연구 / 동부건설주식회사
+ ADAA (Asia Digital Art Award) 카데고리 A분야 최우수상 (Award for Excellence) 수상
+ 2007학년도 학위수여

2007년


+ 디자인학 전공 석사과정 신설
+ 삼성전자 Anymation 컨텐츠 시나리오 개발사업
+ 국제템플스테이션센터 건립공사 설계, 감리 용역
+ 서울시 전용서체 디자인 개발
+ 마법천자문 체험전 산학 프로젝트
+ 동소문로 -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사업 / 서울특별시 성북구
+ 청계천권역 산업활성화를 위한 U환경 기반 선행디자인 클러스터 구축 -2차년도
+ IFF (International Fashion Fair)
+ 차세대 감성형 스마트 디스플레이 프로젝트 1차 테스트베드 세트 런칭
+ 2007’ '국제 주얼리 디자인 공모전' 실물부문 / 금상, 은상, 동상 수상
+ 맞춤시청형 DMB 서비스 소비 시연물 제작 / 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Trend & Issue 개발을 위한 산학협동 프로젝트 / (주)롯데건설
+ 패션 문화 컨텐츠로서 세계 지역 라이프스타일 DB개발 연구 (2차년도)-www.llfashion.or.kr
+ 차세대 감성형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혁신클러스트구축 사업
+ 차세대 감성형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혁신 클러스터 / 서울특별시
+ 2006학년도 학위수여

2006년


+ 제 3대 원장에 디지털컨텐츠디자인 전공 전승규 교수 취임
+ BK21 유비쿼터스 스마트 스페이스 디자이너 양성 사업팀 선정
+ 건설산업 틈새시장 상품개발 연구 / 쌍용건설주식회사
+ 디자인컨퍼런스 ‘百人一色百人百色一人百色’ 개최 / 제로원디자인센터 (시각디자인전공)
+ 고령친화가구디자인우수상 (금속&주얼리디자인전공 - 김주희, 박현정)
+ 고령친화실내제품우수상 (금속&주얼리디자인전공 - 남소은, 강가애, 김선정)
+ 지능형 홈기기 Symposium, COEX (건축전공)
+ 100대 민족문화상징 선정의 문화사적 의의와 향후 활용방안에 대한 대토론회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청계천권역 산업활성화를 위한 U환경 기반 선행디자인 클러스터 구축 -1차년도 / 서울특별시
+ 뉴욕 Moda Manhattan Accessory The Show? (패션디자인전공 - 이재정, 윤을요, 김윤희, 전유진, 이정열, 김현화)
+ Ubiquitous Smart Space Exhibition 2006 , KINTEX (건축전공)
+ 큐뮬러스 국제연합회 선정 (Cumulu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of Art, Design and Media)
+ 2006 Smart Home Network Show, 가나아트갤러리 (건축전공)
+ HCI 2006 디자인어워드 수상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함원식, 최혜주, 소연정, 정지홍)
+ 2005학년도 학위수여

2005년


+ 'Five Eyes Stories Digital Painting' 전 개최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독일 ‘2005 프랑크푸르트 국제 추계 소비재박람회’ 출품 및 참관 (금속&주얼리전공)
+ ‘같이;가치+있기;잇기’전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전시 개최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미국 뉴욕 ‘Flash Film Festival’ 최고상 수상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허한솔)
+ 2005 국제 주얼리 공모전 한국귀금속보석디자인협회장상 및 한국디자인진흥원장상, 우수디자이너상 수상 (금속&주얼리전공)
+ 영국 ‘제3회 국제 가전기기 디자인 컨퍼런스’ 참가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일본 디자인학회 발표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11팀)
+ '한국 귀금속 공예대전' 실물부 특별상 수상 (금속&주얼리전공-김희경)
+ 일본 후쿠오카 ‘제52회 일본 디자인학회’ 논문발표 및 전시 참가 (디지털컨텐츠디자인, 인터랙션디자인, 건축전공)
+ 2004학년도 학위수여

2004년


+ 제 2대 원장에 산업디자인 전공 박종서 교수 취임
+ 산업자원부 지능형 홈 산업화 지원센터 선정
+ 일본 2004 ‘제1회 애니메이션 기획대상’ 가작 수상?(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김영상,이현석)
+ 일본 후쿠오카 ‘Asia Digital Art Award 2004’ 우수상 수상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김재인)
+ 레바논 ‘Korean Esthefics’ 개최 (시각디자인전공)
+ 미국 ‘Siggraph 2004’ 참관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미국 ‘맨하탄 액세서리 박람회’ 참관 (패션디자인전공)
+ 2004 국제 시계 보석 공모전 금상 수상 (금속&주얼리전공 - 임혜성)
+ 2004 국제 시계 보석 공모전 대상 수상 (금속&주얼리전공 - 채영미)
+ 일본 ‘51회 일본디자인학회’ 참가 및 논문 발표 (전체전공)
+ 영국 및 네덜란드 연수 (실내디자인전공)
+ 이태리 ‘밀라노 가구박람회’ 참관 (산업디자인전공)
+ 동숭동 제로원 디자인센터로 통합
+ 중국 산동대학 및 경덕진대학 방문 및 워크샵 참가 (도자전공)
+ 미국 Tucson 방문 - 주얼리 트랜드 및 제품시장 동향 파악 (금속&주얼리전공)
+ 2003학년도 학위수여

2003년


+ 일본 ‘아시아 디자인학회’ 참가 - 연구성과 전시 및 논문 발표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성남 국제 주얼리 디자인 심포지움’ 참가, 새마을 중앙연수원
+ 일본 ‘제6회 아시아 디자인 국제회의(ADC)’ 참가 부스전시 및 학회발표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프랑스 리옹 ‘9th Festival Cinemas & Cultures’ 수상 (디지털컨텐츠디자인 전공 - 김태훈, 김기필)
+ ‘Asia Digital Art Award 2003’ 우수상 수상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일본 미래대학 공동 워크샵 개최 및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보고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미국 ‘시카고 실내디자인 박람회’ 및 워크샵 참가 (실내디자인전공)
+ 오스트리아 ‘The new wooden window international compettition’ 참가 그랑프리 수상 (실내디자인 전공 - 하재경, 김도연, 김진영, 노양미, 박효미)
+ 독일 프랑크푸르트 초청전시 ‘사랑과 평화’ 포스터전 개최 및 연수?(프랑크푸르트 총영사관/시각디자인전공)
+ 프랑스 ‘2003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참관 및 ‘MIFA(견본시장)’ 작품 전시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일본 ‘동경 디자인대학원 제품디자인학과 세미나’ 연수 (산업디자인전공)
+ 일본 후쿠오카 ‘Asia Digital Art & Design Association’ 참가
+ 전공체제에서 연구중심 랩 체제로 운영수칙 변경
+ 9개 랩 : 컨텐츠디자인, 인터렉션디자인, 브랜드디자인, 인더스트리얼디자인, 스마트 스페이스디자인, 패션, 실내 & 환경디자인, 주얼리디자인, 디자인학
+ 독일 ‘프랑크푸르트 박람회’ 및 ‘뮌헨 보석, 은세공, 장비전’ 참관 (금속&주얼리전공)
+ 프랑스 ‘프리미에르 비죵’ 참관 및 ‘오뜨꾸뛰르’ 현장 방문 (패션디자인전공)
+ HCI 학술대회 ‘문화로의 회귀’ 참가, 휘닉스파크 컨벤션센터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이태리 ‘ISAD 워크샵 및 세미나’ 참가 및 현지공동주거 답사 (건축전공)
+ 2002학년도 학위수여

2002년


+ ‘17회 조형금속공예전’, 경인미술관 (금속&주얼리전공)
+ 프랑스 파리 Oniva 갤러리 초청 디자인 전시 ‘digital TED on Paris’전 개최 및 연수, Oniva 갤러리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인사동 ‘최종진화를 꿈꾸며’ 개최, 관훈갤러리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중국 상해 ‘Dynamic Korea 2002’ 산자부와 공동개최, 신국제박람관 (시각디자인전공)
+ 중국 ‘북경, 상해 전시회’ 참관 (시각디자인전공)
+ 중국 북경 ‘호감,교감,공감...한국’전 개최, 중국공예미술관 /시각디자인전공)
+ 디자인학 전공 박사과정 신설
+ 일본 ‘2001 Asia Digital Award’참가 및 오사카대학 3D CG연구소 참관 (건축전공)
+ 이태리 ‘Salone Internazinale del Mobile Int’l Expo of Furniture’ 참관 (실내디자인전공)
+ 이태리 ‘Salone del Mobile Salonesatellite 2002’ 참관 (산업디자인전공)
+ ‘한국 이태리 현대도예’전 개최 (도자 전공)
+ 미국 ‘뉴욕주립대 FIT 세미나’ 참가 및 패션스쿨 연수 (패션디자인전공)
+ 역삼동에 제로원 스튜디오 설립
+ 이태리 ‘한국 이태리 현대도예’전 개최 관련 연수 (도자전공)
+ 독일 ‘프랑크푸르트 소비재박람회’ 및 ‘뮌헨 보석,은세공,장비’전 참관 (금속&주얼리전공)
+ 2001학년도 학위수여

2001년


+ 미국 RISD와 공동 디자인 세미나 ‘공동주거에 나타난 한국전통성’ 개최
+ ‘2001 성남국제주얼리디자인 심포지움 - 브랜드 전략과 마케팅’ 참가
+ 디자인 세미나 ‘이 시대 최고 논객과의 향연-디자인과 기초학문의 만남’ 개최 (매주 금요일)
+ 일본 ‘2001 Asia Digital Award’ 참가 및 우수상 수상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2001 쌍용건설 산학협동 특강’ 개최 (매주 수요일)
+ ‘Asia Digital Art Award 2001’ 우수상 수상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일본 ‘동경 캐릭터 쇼’ 참관 (시각디자인전공)
+ 산업체 세미나 ‘드림케스트-Web 3D 세미나’ 개최
+ 이태리 ‘Vicenza Fair’ 참관 (금속&주얼리전공)
+ 프랑스 ‘제 25회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참관 (디지털컨텐츠디자인전공)
+ 산업체 세미나 ‘Phantom-Freeform 세미나’ 개최
+ 실내디자인학회 주최 국제심포지엄 ‘2001 Interior Design Weekend in Seoul’ 참가
+ 디자인 세미나 ‘디자이너를 위한 동양철학 강좌’ 개최 (매주 금요일)
+ 이태리 ‘밀라노 Salon Satellite’ 전 출품 및 참관, 도무스, 알레시 공장 견학 (산업디자인전공)
+ 이태리 ‘밀라노 가구전시회’ 참관 (실내디자인전공)
+ 전문가 특강 ‘Domus Academy Italy Design’ 개최
+ 한·일 주얼리디자인 교류전 ‘링크’ 전 개최 (현대아트갤러리/금속&주얼리전공)
+ 인도 ‘집합주거 근현대건축’답사 (건축전공)
+ 이태리 밀라노 ‘Prata Expo 및 Moda in 2002’ 참관 (패션·도자전공)
+ 학과체제에서 전공체제로 운영수칙 변경
+ 9개 전공 : 디지털컨텐츠디자인, 인터렉션디자인, 시각디자인, 산업디자인, 패션디자인, 건축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금속∙주얼리디자인, 도자
+ 2000학년도 학위수여

2000년


+ 전문가 특강 개최 - 제일기획 박웅현 국장 (10. 24) - 윤디자인 윤영기 사장 (11. 1) - 현대자동차 박종서 부사장 (11. 22) -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전경원 원장 (12. 13)
+ 대학원 정원 총 91명으로 증원, 박사과정 2명 증원
+ 동숭동에 제로원 스튜디오 설립
+ 일본 ‘집합주택과 미래건축의 동향파악’ 연수 (실내디자인전공)
+ 중국 ‘유통산업의 디자인’ 현황조사 및 견학 (시각디자인전공)
+ 산업체 세미나 ‘CDRS 특강’ 개최 - 현대자동차
+ 미국 ‘E3 EXPO’ 참관 (디지털컨텐츠디자인·인터랙션디자인전공)
+ 호주 QUT 대학 IKEA, FOX Studio, E3show 참관 및 학술교류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테크노디자인연구소 설립
+ 이태리, 프랑스, 일본 ‘제품 디자인 경향’ 견학 (산업디자인전공)
+ 이태리 ‘Preta Expo’ 및 ‘Moda Milano’ 참관 (패션·도자전공)
+ 이집트, 그리스 연수 ‘카이로, 아테네 건축양식’ 견학 (건축전공)
+ 일본 ‘동경 보석 전시회 IJT’ 참관 (금속&주얼리전공)
+ 1999학년도 학위수여

1999년


+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교육부 설립인가
+ 4개 학과, 9개 전공
+ 석사 과정 75명, 박사 과정 14명
+ 초대 원장에 시각디자인전공 김인철 교수 취임




36-702 서울시 성북구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TEL. 02-910-4943, 4944. FAX. 02-910-52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Jeongneung-Ro 77, Seongbuk-Gu, Seoul, Korea


Copyright © 20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