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모션 Lab’에서는 실험적 시스템과 알고리즘을 디지털이미지 기술과 결합하여 이미지와 모션을 언어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실험하여 비선형적 내러티브로 병합합니다. 비선형 스토리를 만드는 시각디자인에 대한 진보적인 접근 방식으로 서로 다른 분야의 결합을 시도합니다. 시각언어 기반의 디자인과 예술을 통해 다른 디자인 분야뿐 아니라 언어학과 같은 전통적인 학문 분야로 시각디자인의 경계를 확장하여 디자인의 실천적 단계에 적용될 수 있는 시각언어의 이론을 확립합니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직업 환경에서 시각디자인 분야를 재배치하고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을 확장합니다.
스튜디오 수업 개요
비선형내러티브디자인 I, II (6+6학점)
시각디자인의 실천적 확장을 목적으로 이미지와 모션을 시각언어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시스템과 알고리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비선형적 내러티브로 병합하는 방법론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시간과 공간을 위한 스토리와 인터페이스를 실험하는 수업이다.
전공이론 수업 개요
시각언어연구 I, II (3+3학점)
글과 그림에서 상징과 은유가 작동하는 방법을 이해하여 시각언어의 이론적 바탕을 확립하고, 언어적관점에서 이미지와 미디어를 탐구하여 시각언어의 확장 가능성을 연구하는 수업이다.
전담교수
+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CalArts) Graphic Design 석사
Cleveland Institute of Art Graphic Design 학사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학사
+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2006-현재)
인하대학교 예술체육학부 시각정보디자인학과 출강 (2009-15, 2016-17)
제로원(01)디자인센터 부소장 (2007-2008)
Velcro Collective 파트너 (2020-현재)
Studio IMJ 그래픽디자이너 (2003-현재)
CalArts 대외홍보처 그래픽디자이너 (2004-2006)
씨드컨설팅 그래픽디자이너 (1997)
+
iF Design Award 2016, 커뮤니케이션 부문 Design Excellence 수상 (2016)
제 83회 Art Directors Club (ADC) Annual Awards, 그래픽디자인 부문 Gold 수상 (2004)
I.D. Annual Design Review 2004, 컨셉 부문 Honorable Mention 수상 (2004)
TDC50(The Type Directors Club’s Annual Typography Competition), Certificates of Typographic Excellence-Judge’s Choice 수상 (2004)
Adobe Design Achievement Awards (ADAA), 인쇄 미디어 부문 1등상 수상 (2003)
+
프랑스 장식미술관 Musée des Arts Décoratifs 작품 영구 소장
+
<런던디자인비엔날레> 한국팀 작품 전시 (2016, 서머셋하우스, 영국, 런던)
<타이포잔치 2011: 서울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작품 전시 (2011,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대한민국, 서울)
<샤몽 국제 포스터/그래픽 예술축제> 작품 전시 (2008, 창고 갤러리, 프랑스, 샤몽)
<지진과 여진 칼아츠 그래픽디자인 포스터 1986–2004> 작품 전시 (2007, 로스엔젤레스 시립 갤러리,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볼주립대학교, 미국, 인디아나, 먼시. 2005, 랭미술대학, 프랑스, 랭; 장식미술관, 프랑스, 파리)
36-702 서울시 성북구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TEL. 02-910-4943, 4944. FAX. 02-910-52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Jeongneung-Ro 77, Seongbuk-Gu, Seoul, Korea
Copyright © 20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