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생활을 위한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리빙제품 가구디자인의 선두적이며 실천적인 디자인 교육을 지향합니다. 리빙 디자인 산업계와 가구 디자인 산업계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니즈를 발굴하여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는 기획능력 및 그에 따른 창의적인 개발능력을 갖춘 통합적 사고의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링크+사업을 통한 취업연계 인재양성 프로그램 및 국제공동산학 수행 등을 통한 경쟁력 있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프랑스, 중국, 이탈리아 등과의 국제 교류 및 공동 연구를 실행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디자인 교육 및 연구 그리고 산학 네트워크를 통한 글로벌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전공 및 스튜디오
학과 공통 교과목은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의 라이프스타일·가구디자인랩, 공간·환경디자인랩, 컬처디자인랩의 공동과목으로 운영된다.
Culture Social Issue
스페셜 디자인 이슈
현대 사회, 경제 및 문화 등 전반에 걸친 디자인과 관련된 이슈를 통하여 시대에 알맞은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기본 지식과 안목을 갖게 한다. 석사와 박사의 학위 주제를 찾기 위한 기초 수업이다.
글로벌 온라인 렉쳐 시리즈 I, II
해외 디자이너/연사와 특강을 진행하며 이루어지는 상호 교육방식으로 논의 및 토론을 통한 다양한 디자인 방법을 실현한다.
Grounded Theory
디자인과 사회
연구 주제를 바탕으로 주재별 데이터 분석 등을 연구의 기초자료를 유연하고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연구 기초교육을 학습 한다.
동양문화와 디자인
동양문화를 기반으로 디자인 정체성을 규명하고, 기술 및 산업중심의 디자인 연구에서 문화 중심의 실천적인 디자인 연구를 수행, 다문화간의 공동 연구를 통해 차별화된 연구와 이론을 정립한다.
동아시아 디자인 트랜드
동아시아 문화를 기반으로 새로운 사고와 경험을 제공, 한중일 디자인 전문가와 함께 기획과 시장, 소비자 분석 방법을 습득하여 실무형 인재로 양성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Research Method
사용자 리서치 및 시장 예측
다양한 사용자 연구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로운 디자인 분야 개척 및 연구 기반을 닦기 위해 사회적, 문화적 관점에 따라 시장을 예측하고 분석한다.
라이프스타일 리서치
연구논문의 바탕이론을 구축하기 위한 분석과 조사를 하는 과정으로써, 다방면의 현황 정보수집 방법과 연구방식을 습득, 필요한 정보들을 선별하고 활용하는 변별력을 키운다.
리빙 및 가구제품기획
사용자 분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공간을 기획, 디자인 제안을 목표로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 주거 공간 및 사용자에 대한 연구 노하우를 바탕으로 솔루션을 도출한다.
사용자 문화 디자인 리서치
디자인에 직접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리서치 기법을 연구하고 실습하고, 사용자 분석 프로그램 NOLDUS XT를 비롯해 설문 및 인터뷰, 비디오 에스노그라피 등 디테일한 리서치 기법들을 기획, 실습한다.
산업체 공동연구
기업과의 공동수업 통한 실무 연계 수업을 통해 기업에서 원하는 인력 양성을 목표로 기업전문가가 지도, 기업의 실무 전 과정을 경험하고 전문지식과 경험 습득, 산업현장 중심의 창의적 인력으로 성장. 실무능력, 팀워크 등을 배양한다.
Global Design Workshop
3D 프린팅 & 프로토타이핑
3D프린팅 기술을 응용한 프로토타이핑 시물리이션을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 전과정을 렙에 구축된 3D프린트 장비를 활용하고, 모델링 제작 노하우를 습득한다.
문화기술과 가구디자인 스튜디오
목공, 옻칠, 세라믹 등 다양한 분야의 전통제작기술 전문가와의 융합디자인 스튜디오를 진행한다. 전문가와의 스튜디오 워크숍 및 세미나를 통해 제작기술 노하우를 이해하고, 제작 완성도를 확보한다.
스마트 리빙공간디자인 스튜디오
주거 공간에서 최신 이슈 및 기술(디지털과 증강현실)을 세미나 식으로 발표하고 공유, 분석하여 신개념 리빙 공간시스템 구축 및 공간디자인을 제안 한다.
리빙디자인 스튜디오
라이프 스타일 리서치를 바탕으로 현대 주거공간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해하고, 미래 주거환경에 적절한 방향과 디자인 솔루션을 제안한다.
글로벌 디자인 워크숍
해외 디자이너/연사와의 스튜디오 워크숍으로 이루어지는 상호 교육방식으로 논의 및 토론을 통한 다양한 디자인 방법을 실현한다.
Food Design Track Class
식문화와 디자인
식문화를 고찰하고 나아가 디자인 대상으로서의 생활과 문화적 측면에서의 가치를 논하고, 식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융복합적, 디자인적 사고를 제안한다.
식문화와 공간
각 디자인 분야의 전문가들과 다양한 노하우들을 바탕으로 식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공간의 디자인 전략 및 기획을 도출한다.
푸드디자인과 오브제
식(食)산업계에서의 푸드 디자인의 역할 및 새로운 플랫폼의 성립 가능성 등을 모색, 미래생활에 적합한 가치로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분석, 예측하여 구체적인 디자인으로 제안한다.
푸드디자인과 가구
다양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식문화를 중심으로 식공간과 가구, 도구 등을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창출위한 디자인 개념을 제안한다.
전담교수
+
미국 시카고 IIT 박사 과정(수료) (2007)
미국 로스 엔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 석사 (199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 공업디자인 석사 (1988)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학사 (1985)
+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2015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총감독 (2015)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원장 (2014-2018)
2010 서울 디자인 한마당 총감독 (2010)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부회장 (2012-2014)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소장 (2008-2018)
+
2017 Shanghai [The 3rd New Crafts Exhibition] 전시, 중국 상해 (2017)
프랑스 생테티엔 국제 디자인 비엔날레 한국관 Vitality 2015, Beyond Craft & Design 초청 큐레이터 (2017)
2014 전통 문화 융∙복합 상품 개발 전문 교육 지원 및 융∙복합 상품 개발 문화부 (2014-2015)
Research on Cooking Behaviors of Senior Age Group in China, (주)LIXI (2014)
2013 OCD International Conference 개최, Design Insight 다문화 시대의 여성과 디자인 (2013)
BK21 플러스 사업 - TEC : Hyper Designer 양성 사업팀, 교육부 (2013-2018)
Marquis Whos in the World (2011)
이태리 트리엔날레 밀라노 디자인 뮤지업 초청 기획 'Vitality : Korean Young Designers' 전시 큐레이터 (2011)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한∙중∙일 식문화 기반 디자인 연구', 교과부 선정 중점 연구소 지원사업 (2008-2011)
크리에이티브 디자이너스 어워드 스타 디자이너상,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KFDA (2006)
Tokyo Designer's Week, Spiritual Bath Design Primio 상 수상, 일본 (2004)
일본 우수 디자인전 수상, G-Mark, INAX Piasse, 일본 (2002)
한국 산업디자인상 대상, 산업자원부 (2000)
우수 산업디자인상 국무총리상, 산업자원부 (1999)
참여교수
+
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 공예공업전공 조형학 박사 (2009)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퓨전산업디자인전공 석사 (2005)
국민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 학사 (2002)
+
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 Post Doctor (2011-2013)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박사급 연구원 (2010)
+
전통시장 대학협력사업, 정릉 아리랑 시장 (2019)
4차혁명 분야 창업교육 선도 대학, 송파구 MPC2019 메이커 프로젝트 커피 (2019)
새로운 식문화 선도를 위한 식도구 개발, (주)한국전통문화사업단 (2019)
전통시장 대학협력사업, 성북구 장곡시장 (2018)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LINK+) 교육모듈과정 (2017-2018)
Salone del Mobile Milano (2017)
이탈리아 Venice Biennale (2016)
광주비엔날레 (2016)
밀라노 엑스포 한국관 (2015)
프랑스 Biennale du Design Saint-Etienne (2015)
+
RIBA (part3) Professional Practice in Architecture, Westminster University
RIBA (part2) Professional Diploma in Architecture, London Metropolitan University
M.A. in Architecture & Interior Design, London Metropolitan University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학사
+
roje Object 고문
107 Design Workshop 공동대표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2019 협력큐레이터
Haworth Tompkins (Project Architect)
East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al Assistant)
Architecture Research Unit (Research Assistant)
Karakusevic Carson Architects (Architectural Assistant)
+
새만금 종합개발기본구상을 위한 국제공모 Architecture Research Unit 수상
2020 밤에도 빛나는 DDP_싹 展 : 2019년 '바우하우스 100주년 기념전시'의 후속 프로그램으로 국민대학교,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 홍익대학교가 'Small Living Object' 주제로 비욘드 바우하우스 상품을 개발, 전시하였다.
2020 밤에도 빛나는 DDP_싹 展 : 2019년 '바우하우스 100주년 기념전시'의 후속 프로그램으로 국민대학교,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 홍익대학교가 'Small Living Object' 주제로 비욘드 바우하우스 상품을 개발, 전시하였다.
2019 바우하우스10X10 (DDP, Korea) : 서울디자인재단이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사연구소가 기획한 워크숍으로 9월부터 국내10개 대학, 10명의 대학(원)생 100명이 제안하는 뉴 바우하우스 오브제 즉, 21세기의 기술적 조건, 미학, 사회적 인식을 반영하여 바우하우스 마스터피스를 재현하기 위한 워크숍을 하고,그 결과물을 전시(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기록관에서 10월 1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진행하는 바우하우스100주년 기념 디자인 워크숍에 참가 후 결과물 전시하였다.
2019 바우하우스10X10 (DDP, Korea) : 서울디자인재단이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사연구소가 기획한 워크숍으로 9월부터 국내10개 대학, 10명의 대학(원)생 100명이 제안하는 뉴 바우하우스 오브제 즉, 21세기의 기술적 조건, 미학, 사회적 인식을 반영하여 바우하우스 마스터피스를 재현하기 위한 워크숍을 하고,그 결과물을 전시(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기록관에서 10월 1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진행하는 바우하우스100주년 기념 디자인 워크숍에 참가 후 결과물 전시하였다.
2017 Milan Fiera, Salone Satellite 전시초청 ’Kookmin University’ : 2017년 밀라노 디자인 위크, Milan Fiera, Salone Satellite에서 초청 전시를 진행하였다. 본 전시는 목재라는 소재가 가지는 문화적 감성을 토대로 크래프 트맨쉽을 통해 표현한 프레임 디자인과영상전시, 한국적 소재인 숯을 소재로 숯 전문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디자인한 촛대와 테이블 작품을 전시하였다.
2017 Milan Fiera, Salone Satellite 전시초청 ’Kookmin University’ : 2017년 밀라노 디자인 위크, Milan Fiera, Salone Satellite에서 초청 전시를 진행하였다. 본 전시는 목재라는 소재가 가지는 문화적 감성을 토대로 크래프 트맨쉽을 통해 표현한 프레임 디자인과영상전시, 한국적 소재인 숯을 소재로 숯 전문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디자인한 촛대와 테이블 작품을 전시하였다.
2017 Home&Table deco Fair-'Living Culture, Frame Frame'
2017 Home&Table deco Fair-'Living Culture, Frame Frame'
2016 Time Space Existence, Venice : 이탈리아 디자인계의 거장 알레산드로 멘디니와 한국의 디자이너들이함께 진행한 워크샵 결과물을 전시하였다. 한국 전통 고유의 가치 발견을 통해 정체성을 수립하고, 이 시대의 수요에 맞는 미래 조형 가치와 융합적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보여준다.
2016 Time Space Existence, Venice : 이탈리아 디자인계의 거장 알레산드로 멘디니와 한국의 디자이너들이함께 진행한 워크샵 결과물을 전시하였다. 한국 전통 고유의 가치 발견을 통해 정체성을 수립하고, 이 시대의 수요에 맞는 미래 조형 가치와 융합적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보여준다.
2016 Time Space Existence, Venice
2016 Time Space Existence, Venice
2015 Pre-Gwangju design Biennale, Korea's Phantasma
2015 Pre-Gwangju design Biennale, Korea's Phantasma
2014 Milano design week Fuori Salone ‘Sharing Design- GYUL’ : 동양의 미적 감성을 자연 소재에서 찾고, 나무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질감을 뜻하는 순 우리말인 “결(GYUL)”을 주제로 문화적 감성(Cultural Emotion)과 크라프트맨쉽(Craftsmanship)을 결합한 우드트레이 작품을 전시하였다.
2014 Milano design week Fuori Salone ‘Sharing Design- GYUL’ : 동양의 미적 감성을 자연 소재에서 찾고, 나무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질감을 뜻하는 순 우리말인 “결(GYUL)”을 주제로 문화적 감성(Cultural Emotion)과 크라프트맨쉽(Craftsmanship)을 결합한 우드트레이 작품을 전시하였다.
2016 Creative Design Workshop with Alessandro Mendini
2016 Creative Design Workshop with Alessandro Mendini
2016 Creative Design Workshop with Stefano Giovannoni
2016 Creative Design Workshop with Stefano Giovannoni
2015 Animal Stool' Design.Emotion Convergence workshop : 이태리 감성 디자이너 안나질리와 함게하는 'Animal Stool'
2015 Animal Stool' Design.Emotion Convergence workshop : 이태리 감성 디자이너 안나질리와 함게하는 'Animal Stool'
2018 Public & Community Design Workshop : Community Design 전통건축사례연구, 토루 워크샵
2018 Public & Community Design Workshop : Community Design 전통건축사례연구, 토루 워크샵
2018 Public & Community Design Workshop : 아치현립미술대학(일본) & 공간ㆍ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2018 Public & Community Design Workshop : 아치현립미술대학(일본) & 공간ㆍ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2016 한·불 수교 기념 국제 워크샵 Designing Creative Next Designers : '르코르뷔지에의 디자인을 찾아서'
2016 한·불 수교 기념 국제 워크샵 Designing Creative Next Designers : '르코르뷔지에의 디자인을 찾아서'
2017 Community mapping 'WEST SIDE STORY' (ESADSE 대학 &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Culture.Emotion.Technology insignt through I-TEC-리빙-컬처 :새로운 器 under wall
2017 Community mapping 'WEST SIDE STORY' (ESADSE 대학 &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Culture.Emotion.Technology insignt through I-TEC-리빙-컬처 :새로운 器 under wall
2018 Global Design Workshop with Benjamin Graindorge, 쎙떼띠엔 ESET대학 교수, France
2018 Global Design Workshop with Benjamin Graindorge, 쎙떼띠엔 ESET대학 교수, France
2018 Global Design Workshop with Terahara Yoshihiko, 武蔵野美術大学, Japan
2018 Global Design Workshop with Terahara Yoshihiko, 武蔵野美術大学, Japan
2017-2019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모듈사업 ‘미래 주거를 위한 스마트 가구디자인 전문 인재양성 트랙’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산학협력 고도화형)’ :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모듈사업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실무형 융복합 창의인재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 "으로 국민대학교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단은 대학의 핵심 특화분야를 중심으로 '실무형 융복합 교육을 통한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2017년부터 진행하였다. 본 사업 은 (주)한샘, (주)리바트, (주)퍼시스와 함께 '미래 주거를 위한 스마트 가구디자인 전문 인재양성 트랙' 과정을 학석사 연계과정으로 추진하였으며, 1차년도에는 사용자 문화 리서치와 디자인 기획, 디자인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기업과 공동으로 진행하였으며, 2학기에는 리서치를 기반으로 한 실무 프로젝트에 투입, 개발단계부터 상품화까지의 전체 과정을 기업 실무프로세스에 맞춰 현장실습 중심으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2017-2019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모듈사업 ‘미래 주거를 위한 스마트 가구디자인 전문 인재양성 트랙’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산학협력 고도화형)’ :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모듈사업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실무형 융복합 창의인재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 "으로 국민대학교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단은 대학의 핵심 특화분야를 중심으로 '실무형 융복합 교육을 통한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2017년부터 진행하였다. 본 사업 은 (주)한샘, (주)리바트, (주)퍼시스와 함께 '미래 주거를 위한 스마트 가구디자인 전문 인재양성 트랙' 과정을 학석사 연계과정으로 추진하였으며, 1차년도에는 사용자 문화 리서치와 디자인 기획, 디자인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기업과 공동으로 진행하였으며, 2학기에는 리서치를 기반으로 한 실무 프로젝트에 투입, 개발단계부터 상품화까지의 전체 과정을 기업 실무프로세스에 맞춰 현장실습 중심으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2014 어린이 창의놀이공간 모델 개발 및 구축사업 ‘ i – PLAY’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 방문하는 방문객 및 상주인력의 유아, 어린이를 보육하는 목적의 유아서비 스 공간시설 디자인 프로젝트로, 서울시를 중심으로 전국의 유아서비스 시설의 표준모델을 개발, 구축하기 위한 사업이다.
2014 어린이 창의놀이공간 모델 개발 및 구축사업 ‘ i – PLAY’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 방문하는 방문객 및 상주인력의 유아, 어린이를 보육하는 목적의 유아서비 스 공간시설 디자인 프로젝트로, 서울시를 중심으로 전국의 유아서비스 시설의 표준모델을 개발, 구축하기 위한 사업이다.
2014 Craft X Design – 전통공예와 현대디자인의 융합을 위한 전문교육 및 융복합 상품개발 : 전통공예와 현대 디자인의 융복합을 통해 전통공예가 가지는 기술과 감성, 현대 디자인이 가지는 기능성과 창의성을 결합하여 세계적 수준의 상품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진행, 40인의 공예장인 및 디자이너를 선발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전통문화 관련 인문학 강좌 시리즈를 개발하고 전통건축 워크숍 진행하였다. 또한 제품개발 전문가 지도하에 공예장인과 디자이너의 콜라보레이션 작품을 제작하고 크리틱을 진행하였으며, 우수작품을 2015 생테티엔 디자인 비엔날레 한국관에서 전시하였다.
2014 Craft X Design – 전통공예와 현대디자인의 융합을 위한 전문교육 및 융복합 상품개발 : 전통공예와 현대 디자인의 융복합을 통해 전통공예가 가지는 기술과 감성, 현대 디자인이 가지는 기능성과 창의성을 결합하여 세계적 수준의 상품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진행, 40인의 공예장인 및 디자이너를 선발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전통문화 관련 인문학 강좌 시리즈를 개발하고 전통건축 워크숍 진행하였다. 또한 제품개발 전문가 지도하에 공예장인과 디자이너의 콜라보레이션 작품을 제작하고 크리틱을 진행하였으며, 우수작품을 2015 생테티엔 디자인 비엔날레 한국관에서 전시하였다.
2014 Craft X Design – 전통공예와 현대디자인의 융합을 위한 전문교육 및 융복합 상품개발
2014 Craft X Design – 전통공예와 현대디자인의 융합을 위한 전문교육 및 융복합 상품개발
2014 산학프로젝트 LIXIL 'active kitchen’ : 중국, 일본의 합작기업인 (주)LIXIL과 산학프로젝트<중국 소형주거 사용자 리서치>를 진행하였다.최근 중국 사회에서 급증하기 시작한 소형 아파트 수요에 대비한 리서치 프로젝트로 2013년에는 중국 상해지역의 소형주거에 거주하는 젊은 부부, 2014년에는 청도 지역에 거주하는 노부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리서치 조건에 맞는 소형아파트 거주 12가구를 선정하여 유저 옵저베이션 기법을 활용한 현장 리서치를 수행하였다. 인터뷰와 설문지, 카메라와 캠코더를 이용한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다수의 창의적인 인사이트를 발견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식문화에 적합한 수납공간과 조리 동선을 고려하여 중국 소형주거공간을 타겟으로 하는 ‘Active Kitchen'을 개발하였다.Active kitchen은 중국의 주방가구 기업 HaiLi와의 협력을 통해 제작되었으며, 상하이 Kitchen & Bath 쇼에서 전시되었다. 산학프로젝트LIXIL ‘active kitchen’은 진취적인 교육 철학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준비된 실천형 Designer 인재 육성이다.
2014 산학프로젝트 LIXIL 'active kitchen’ : 중국, 일본의 합작기업인 (주)LIXIL과 산학프로젝트<중국 소형주거 사용자 리서치>를 진행하였다.최근 중국 사회에서 급증하기 시작한 소형 아파트 수요에 대비한 리서치 프로젝트로 2013년에는 중국 상해지역의 소형주거에 거주하는 젊은 부부, 2014년에는 청도 지역에 거주하는 노부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리서치 조건에 맞는 소형아파트 거주 12가구를 선정하여 유저 옵저베이션 기법을 활용한 현장 리서치를 수행하였다. 인터뷰와 설문지, 카메라와 캠코더를 이용한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다수의 창의적인 인사이트를 발견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식문화에 적합한 수납공간과 조리 동선을 고려하여 중국 소형주거공간을 타겟으로 하는 ‘Active Kitchen'을 개발하였다.Active kitchen은 중국의 주방가구 기업 HaiLi와의 협력을 통해 제작되었으며, 상하이 Kitchen & Bath 쇼에서 전시되었다. 산학프로젝트LIXIL ‘active kitchen’은 진취적인 교육 철학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준비된 실천형 Designer 인재 육성이다.
36-702 서울시 성북구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TEL. 02-910-4943, 4944. FAX. 02-910-52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Jeongneung-Ro 77, Seongbuk-Gu, Seoul, Korea
Copyright © 2015.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