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디자이너로서 독자적이고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교육을 목표로 합니다. 21세기는 심화 된 전공을 배경으로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디지털 스킬과 실무디자인은 물론, 자유롭고 창의적인 인문·예술적 사고를 통해서 공간디자인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전인적인 디자이너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디자인과 인문, 테크놀로지로 확장된 역량은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선도적인 힘이 되는 동시에 세계를 바라보고 충돌할 수 있는 시선의 높이를 배가시킨다고 믿습니다.
문화디자인랩은 첨단 자본주의 속 양극화, 획일화 되어가는 도시 공간의 문화 다양성을 회복하고, 문화예술를 통해 지역 공동체 삶과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장소 기반 문화 콘텐츠 디자이너를 양성합니다.
지역 고유의 역사와 전통, 문화유산을 활용한 창의적 문화 콘텐츠 기획에 필요한 인문적 소양을 키우고, 디자인, 예술, ICT 기술을 융합한 현장 프로젝트 중심형 교육을 지향합니다.
학부 전공 관계없이, 문학 · 음악 · 미술 · 연극 · 무용 · 영상 · 건축 · 사진 · 만화 · 전시 · 디자인 · 출판 · 패션 ·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공간문화콘텐츠를 기획, 서비스함으로써, 무너져가는 지역 공동체와 생태계 회복에 이바지하는 실천적이고 혁신적 인재를 키웁니다.
마르크스의 사상부터 포스트모더니즘 문화론까지, 현대 사회와 문화 연구에 필요한 주요 이론과 개념을 소개한다.
문화이론의 기본 토대 위에서, 현대 도시 문명과 공간을 해석하는 다양한 이론가들과 그들의 사상적 기여를 공부한다.
선사 시대 미술부터 동시대 미술까지, 서양 미술의 전개와 변화 과정을 공간문화사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20세기 이후 서양 미술과 문화의 주요 흐름과 쟁점, 작품들을 통해 현대 도시 문화사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한국미술사를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전통 예술과 문화의 역사적 가치와 한국 고유의 정체성과 미의식에 대한 인문적 소양을 기른다.
장소성과 지역성에 기반한 창의적 문화콘텐츠 디자인 방법론을 교육한다.
공간 기반 문화콘텐츠 개발과 디자인, 서비스 방법론을 교육한다
인문-기술-디자인 융복합 시대를 선도하는 융합콘텐츠의 창작을 연구한다
공동체 문화 디자인, 도시재생과 관련된 학술 논문 주제의 구체화를 돕고, 관련된 학문적 쟁점과 이론, 방법론 등에 대해 연구한다.